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니티] 10강 Canvas(텍스트)
    [유니티] 기본 2022. 5. 30. 21:32
    728x90

    게임 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에서 처음으로 UI를 추가하면 팝업이 뜨는데, [Import TMP Essentials]를 클릭하면 뭔가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완료후, 방금 만든 객체를 원하는 이름으로 교체합니다.

    Cavas와 EventSystem이 나옵니다. 이제 가장 먼저 해야 할것이 Canvas설정입니다.

    Constant가 있는 있는 2개는 딱봐도, 고정해서 사용할때 옵션임을 알수 있습니다.

    게임을 서비스하려면 수많은 화면에 비율적으로 대응해야 함으로 Scale With Screen Size으로 선택하고, 1136x640, 0.5로 설정했습니다.(아이폰 5사이즈 레티나전 사이즈이며, 1280x720과 종횡비율은 같습니다)

    alt, shift, alt+shift를 눌러서 원하는 anchour를 선택하고, 적당히 좌표값 넣고, 크기도 조절해본다.

    이번에는 좌상단에 표시하도록 했다.

    방금 만든 텍스트 객체에 연동할 스크립터를 만들고 Add Component로 추가하거나 드래그 & 드롭을 한다.

    코드는 별거 없다. 입력되는 문자열이 갱신되도록 했다.

    1. 값을 갱신하는 1번째 방법

    캐릭터가 움직일때, 상황에 맞게 문자열을 입력하도록 변경했다.

    8 line - TextHeroState을 선언했다.

    16 line - Hero객체가 가지고 있는 객체가 아니므로, 외부에서 찾아야 함으로 FindObjectType를 사용한다.

    31 line - 문자열이 갱신되도록 값을 입력한다.

    2. 값을 갱신하는 2번째 방법

    8 line - [SerializeField]를 추가해서 Inspector에서 textHeroState값을 직접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1과 2 실행결과는 같다.

    프로젝트를 새로 만든다면, 골치가 아플것 같은데, 어떤게 프로그래밍하는데 직관적인 방법일지, 개발 방법에 따라 알아서 판단하길 바란다.

    -끗-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