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MD 램오버클럭(제조사별 메뉴 위치, 단위 구분)IT 소식 2022. 5. 22. 17:41728x90
바이오스 화면은 컴퓨터 처음 설정하거나 문제가 생기면 들어갈 정도로 자주 보는 화면이 아니니, 메뉴의 위치가 참 헷갈립니다.
CPU나 메인보드 혹은 램 등의 업그레이드 교체후, 다시 설정하러 가보면 기가 막힐정도로 기억이 안납니다.
특히 메인보드 제조사가 달라지면, 많이 당황스럽습니다. 이번에 겪으면서 한번 정리를 해봤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메인보드사 ASUS와 Gigabyte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스크린샷을 보시면, 클럭과 전압을 넣는곳과 타이밍을 넣는곳으로 구분했습니다.
편히 구분하기 위해서, 스샷끼리 살짝 띄워 두었는데 구분이 잘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해당 스크린샷에서는 각각
ASUS 4000MHz 16-16-16-32 1.435V
GIGABYTE 3800MHz 16-16-16-32 1.36V
로 설정하는겁니다.
두 제조사의 특히 다른점은 적어보겠습니다.
1. 경험상 기가바이트는 전압을 1.36V로 넣어도 실제로 더 먹히는것 같습니다. 만약 ASUS에 먹이려면 1.37~1.38정도 먹여야 동일한것 같습니다.
2. Soc LLC, ASUS에서는 Level 3, GIGABYTE에서는 Turbo로 설정했습니다.
3. GIGABYTE 에서는 x1000 단위로 넣는게 보일겁니다. ASUS에서는 1.15라면 GIGABYTE에서는 1150으로요.
최근 라이젠 CPU 업그레이드 하고, 램 오버클럭에서, 죽어도 3800이 안들어가진다는 분 여러번 봤습니다.
최근 라이젠 5800X 체험단하면서 저도 똑같이 겪었습니다. 아무리 전압을 더 주고, 타이밍을 늘려도 부팅에 실패했습니다.
이유는 정확히 잘 모르지만, 3800만 부팅이 안되었습니다. 정말 딱 3800만 안되었습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5900X, 5600G, 5600X는 3800으로 위와 동일한 타이밍과 전압 1.36~1.38로 잘 사용중입니다.
체험단에서 받은 샘플 5800X는 시간이 없어서 실사용으로 더 테스트 해보지는 못했는데, 4000에 동일한 타이밍 전압 1.435로 안정화도 성공하고 잘 작동했습니다.
3800으로 부팅 절대로 안되시는분, 3733으로 수긍하지마시고, 전압 조금더 주고 3866으로 부팅되는지 부터 반드시 확인해보세요.
본 게시글은 라이젠 서포터즈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IT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D, Ryzen 7000 최대 16코어 및 170W TDP, RDNA2 통합 GPU '표준', AVX512 기반 AI 가속 확인 (0) 2022.05.27 라라 테크랜드 AMD, 컴퓨텍스 2022 컨퍼런스 전체 내용 정리본 (0) 2022.05.24 AMD 특허 자동 메모리 오버클럭 툴 (0) 2022.05.21 MSI 메인보드 AGESA 1.2.0.7 바이오스 지원 (0) 2022.05.17 최대 3만원 상품권! AMD 라데온 포토 후기 이벤트! (0) 2022.05.17